읽기마당 > 부모/교사 독서지도 > 독서지도기초

부모/교사 독서지도

제목 4) 기행문(紀行文)

1. 기행문의 특성
여행은 일상의 변화 없고 따분한 생활에서 벗어나 기분 전환의 기회가 되며, 자연과 미지의 세계를 접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을 맛볼 수도 있게 해 준다.

기행문이란, 여행하면서 체험한 내용 즉, 보고 들은 것, 여행지의 산천 경개, 그 지방의 인정과 풍속 등에 대한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을 여행한 순서에 따라 적은 글이다. 그러므로 기행문은 필자의 처지에서는 여행기이지만, 가보지 못한 독자를 위해서는 현지의 인정, 풍속, 풍물에 대한 친절한 안내서 구실을 한다.

또, 기행문은 현지 자료의 보고(報告)가 된다. 필자가 직접 현지에 가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것이므로 어느 자료나 조사보다도 신빙성이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기행문은 현장 보고서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이 밖에도 기행문은 수필적 성격을 갖고 있다. 필자가 보고 느낀 대로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록하는 글이기 때문이다. 일기체이든 서간체이든 자유롭게 써 갈 수 있다. 또, 같은 지역이나 대상이라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술되는 이유는 필자의 개성과 주관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기행문은 여행지의 풍물이나 자연만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그에 대한 필자의 느낌과 감회를 표현한다. 그만큼 정서적인 글이 기행문이다.
이렇게 보면, 기행문은 실용적인 성격과 문학적인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정보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정서를 표현하는 글인 것이다.


2. 기행문의 종류

기행문은 문장 형식에 따라 일기체, 서간체, 수필체 기행문등으로 나뉘고, 필자의 서술 태도에 따라 주관적, 객관적, 학술적 기행문 등으로 나누어진다.

1) 주관적 기행문 : 필자의 느낌이 주가 되는 기행문이다. 즉, 여행지의 풍물이나 풍속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보다는 그에 대한 자기의 느낌이나 생각을 중심으로 쓰는 글이다.

2) 객관적 기행문 : 풍속이나 풍물을 객관적으로 정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한 글이다.

3) 학술적 기행문 : 필자의 주관적 감회나 풍물에 대한 묘사를 배제하고 학술적인 측면에서 대상을 분석하고 고증하는 학술 보고서의 성격을 갖는다.


3. 기행문 읽기의 방법

기행문은 여행에서의 지배적인 인상, 느낌, 경험 등이 중심이 되는 글이므로, 기행문을 효과적으로 읽기 위해서는 필자의 여행 동반자가 되어 그 체험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기행문을 읽을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기행문의 종류를 파악해서 읽는다.
기행문은 보고문과 감상문의 성격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정보 전달과 정서표현의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서 방법도 자구적 독해와 감상적 독해 방법이 동시에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객관적 기행문과 학술적 기행문은 정보와 자료가 풍부하기 때문에, 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자구적 독해를 해야 한다. 꼼꼼하고 세밀하게 읽으면서 중요한 자료들은 따로 메모를 하거나 전체 내용을 정리해 가면서 읽는다. 그러나 주관적 기행문은 자료 자체보다도 필자의 생각과 느낌이 중심이 되는 만큼 필자와 호흡을 같이하는 감상적 독해가 효과적이다.

2) 여행의 동기와 노정(路程)을 살피며 읽는다.
여행에는 동기가 있게 마련이다. 그냥 휴식이나 즐거움을 위해 떠나는 여행도 있지만, 학술적인 목적으로 떠나는 여행도 있다. 이 동기에 따라서 글의 내용이나 형식이 달라지므로, 동기를 알면 그만큼 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행문은 대개 여정에 따라 쓰여지므로 이를 확인해가며 읽으면 글 전체의 흐름도 잘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읽는 재미와 함께 실제 여행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3) 필자의 여행 동반자가 되어 읽는다.
실제로 가 보지 못한 곳을 필자와 함께 여행하는 기분으로 읽음으로써 간접경험을 할 수 있다. 만일 가 보았던 곳이라면,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며 필자의 느낌과 비교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행문에는 여행 중에 느끼는 정서가 진솔하게 나타나 있으므로, 사물을 바라보는 글쓴이의 따뜻한 시선과 정서를 함께 하면서 읽는 것이 좋다.[독서교과서]

4) 여행지에 대한 배경 지식을 알아 둔다.
여행지에 관한 여러 정보를 미리 알아 두면, 독자가 파악하고 있는 내용과 필자가 쓴 내용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볼 수 있고, 필자가 쓴 내용이 과장되거나 꾸며진 것이 아닌가에 대한 판단도 할 수 있다.